Skip to content

루니버스 메인넷 스캔을 100% 활용하는 방법

루니버스는 투명한 메인넷 운영을 위해 이더리움 익스플로러(Etherscan)와 마찬가지로 누구나 접속 가능한 익스플로러(이하 스캔)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루니버스 스캔을 통해 메인넷 런칭부터 지금까지의 모든 거래 내역과 발행된 모든 토큰의 상세 정보까지 제공합니다.

지금부터 스캔을 잘 활용할 수 있도록 상세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루니버스 메인넷과 별도로 프로젝트의 가스비를 절약하고 빠른 트랜잭션을 실행시킬 수 있는 사이드 체인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각 사이드 체인마다 독립적인 스캔 페이지를 제공하고 있으니 이점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  루니버스 사이드 체인의 이점은 무엇인가요?

스캔 페이지 구성

스캔 페이지는 총 4개의 메뉴로 구성되어 있으며, 좌측의 내비게이션 바를 통해 각 메뉴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1. DASHBOARD

루니버스 메인넷에 대한 데이터와 검색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페이지입니다. 루니버스 메인넷에 대한 간단한 정보(블록 생성 개수, 블록 생성 속도, 토큰 발행 수, 트랜잭션 수 등)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Latest Block : 출시부터 지금까지 루니버스 블록 수
  • AVG.BLOCK TIME(SEC) : 블록이 생성되는데 걸리는 평균 시간
  • TOTAL TOKENS : 루니버스의 메인넷 상에서 발행된 총 메인 토큰 수
  • TOTAL TRANSACTIONS : 출시부터 지금까지의 총 거래내역 수
  • DAPPS : 루니버스 콘솔에서 제공하는 DAPP 기능 생성 수
  • CONTRACTS : 메인 토큰 생성을 위해 배포된 컨트랙트 수

2. BLOCKS

루니버스 메인넷의 블록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페이지입니다. 실시간으로 블록 생성 정보가 업데이트 되며, 블록을 클릭하여 블록의 세부 정보 또한 확인이 가능합니다.

3. TRANSACTIONS

루니버스 메인넷에서 발생한 모든 트랜잭션을 조회할 수 있는 페이지입니다. 가장 대중적인 페이지이며, 일반적인 토큰 거래 내역을 검색하고 싶으실 경우, 위 메뉴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검색 바에 Hash 값, EOA(address) 등 조회를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면 아래와 같이 거래에 대한 세부 내역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TOKENS

루니버스 메인넷에서 발행된 모든 토큰을 조회할 수 있는 메뉴입니다. 토큰을 클릭해보시면 토큰의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Total Supply : 전체 발행 가능한 토큰 수
  • Current Total Supply : 현재까지 발행된 토큰 수
  • Burnt Token : 소각된 토큰 수
  • Holders : 메인 토큰을 보관하고 있는 EOA 수

블록체인에 데이터 기록, 얼마나 쉽게 할 수 있을까요?

블록체인 기반 이벤트 추적 서비스 Trace의 데모를 확인해보세요.
NOW

스캔에서 거래 내역 조회하기

1. scan.luniverse.io 접속
2. Hash 값 검색

FAQ

질문 1. Transaction info의 To와 Token Transferred의 To는 무슨 차이인가요?

Transaction info To : 메인 토큰 Contract Address

Token Transferred To : 토큰을 전달한 Address

메인 토큰을 전송하게 되면 메인 토큰의 Contract Address를 들려서 보내고자 하는 To로 전송이 됩니다.

하단의 Event Logs 탭을 눌러보시면 From, To, Value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질문 2. Token Transferred의 토큰 전송 수와 Event Logs의 value가 다른데 무슨 차이인가요?

Token Transferred의 토큰 전송 수 : 실제 메인 토큰 전송 갯수

Event Logs의 value : Decimal 포함 수치

Decimal은 토큰마다 표시할 수 있는 소수점 자리수입니다. 이더리움의 Decimal이 18이기 때문에 보편적인 Decimal은 18로 사용하며, 정확한 값은 토큰의 Scan → Tokens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시)  Decimal이 18일 경우
            Token Transferred – 토큰 전송 수 : 1
            Event Logs – value : 1,000,000,000,000,000,000

기타 SCAN 용어 정리

– BLOCK HEIGHT : 몇번째로 생성된 블록인지 순서를 의미합니다.

– AGE : 블록 생성 시점을 뜻합니다.

– TX : TRANSACTION의 약어로, 블록에 몇개의 TX가 포함되었는지를 뜻합니다.

– GAS USED : BLOCK 내에서 트랜잭션을 처리하는데 사용된 가스량을 뜻합니다.

– GAS LIMIT : 한 블록에 담길 수 있는 GAS의 한도를 뜻합니다.

– TX Fee : 사용된 Gas Fee(LUK)를 나타냅니다.

– TIMESTAMP : 블록 생성 시점을 뜻합니다.

– MINED BY : 블록을 마이닝한 주소를 뜻합니다.

– PARENT HASH : 이전 블록의 해시 값을 뜻합니다.

– FROM : 트랜잭션 송신 주소입니다.

– TX hash : 트랜잭션이 실행될 때마다 생성되며, 트랜잭션을 나타내는 고유한 식별값입니다.

– STATUS : Transantion의 상태를 나타냅니다.

  • Fail : 트랜잭션이 정상 작동하지 못하고 실패한 경우
  • Success : 트랜잭션이 정상적으로 작동한 경우

– NONCE : FROM 주소의 트랜잭션 순서를 나타냅니다.

블록체인 또는 루니버스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싶다면?

람다256은 각종 협력이나 파트너십, 일반적인 문의를 환영합니다.
NOW

Share your blockchain-related digital insights with your friends

Facebook
Twitter
LinkedIn

Get more insights

NFTfi는 무엇일까?(ERC 4907)

Danksharding is an improved version of Ethereum’s sharding technology, which is one of the techniques that greatly increase transaction capacity and reduce gas fees in Ethreum 2.0 upgrade. To help you understand what Danksharding is, let’s first take a look at Ethereum's scalability strategy, which aims to increase network performance and ensure scalability.

댕크샤딩은 무엇일까? – #2 샤딩 vs. 댕크샤딩

Danksharding is an improved version of Ethereum’s sharding technology, which is one of the techniques that greatly increase transaction capacity and reduce gas fees in Ethreum 2.0 upgrade. To help you understand what Danksharding is, let’s first take a look at Ethereum's scalability strategy, which aims to increase network performance and ensure scalability.

이더리움 확장성 솔루션, 댕크샤딩 (Danksharding)은 무엇일까? #1

댕크샤딩(Danksharding)은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샤딩 기술을 개선한 것으로, 이더리움 2.0 업그레이드에서 채택된 기술 중 하나입니다. 댕크샤딩은 이더리움의 트랜잭션 처리량을 크게 향상시키고, 수수료를 낮추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NFT 마케팅 전략: 고객 참여와 브랜드 가치 높이기

가상화폐 시장은 한 풀 죽었다는 여론과 달리, 시장을 선도하는 글로벌 기업들은 2021년을 기점으로 웹3(디지털 자산) 사업 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스타벅스와 같은 글로벌 기업들이 디지털 자산을 어떻게 활용했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