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니버스 소개
람다256에서 출시한 루니버스는 GUI(Graphic User Interface)와 API를 통해 블록체인 서비스를 개발 및 운영할 수 있는 BaaS(Blockchain as a Service)입니다. 대표적인 퍼블릭 체인인 이더리움의 확장성 문제를 개선하고, 어렵고 복잡한 Web3 개발 지식 없이도 기존 개발자 누구나 토큰을 쉽게 발행하고 많은 기업들이 블록체인을 실제 비즈니스에 적용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루니버스는 메인 체인과 각 기업에서 독립적으로 사용하는 사이드체인, 즉 Layer2 System으로 설계되어 있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독립적인 체인 환경 제공
- 퍼블릭 체인은 수많은 Dapp(Decentralized Application, 이하 “디앱”)들이 단 하나의 체인 위에 공존하는 형태로, 경우에 따라 트랜잭션 처리가 지연되거나 디앱 서비스의 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업 입장에서 핵심 기술로 판단되는 컨트렉트를 전부 공개해야만 하는 이슈가 있습니다. 루니버스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각 디앱에 독립적인 사이드체인 환경을 제공하여 트랜잭션 지연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였고, 99.9% 의 SLA를 보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프라이빗 환경을 통해 기업의 핵심 기술을 지키며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습니다.
- 운영 비용 절감
- 대표적인 퍼블릭체인인 이더리움은 트랜잭션을 실행시키기 위해서 값비싼 트랜잭션 비용을 지불해야 합니다. 실제로 2020년 5월 ~ 2021년 5월 이더리움의 트랜잭션 비용 조사 결과, 최저 0.5달러에서 최대 71.72달러까지 약 140배가 증가하였습니다. 서비스 운영사 입장에서는 현재 이더리움의 트랜잭션 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우며, 이러한 이유로 심지어 내부 트래픽을 오프체인으로 대체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 루니버스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독립적인 환경인 사이드체인에서는 별도의 트랜잭션 비용을 부과하지 않으며, 루니버스의 메인 네트워크 지불 수수료인 LUK는 0.01USD로 고정하여 이더리움 대비 1/1000 낮은 가격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대신 루니버스는 Pay as you go 형태로 각 트래픽에 맞는 합리적인 요금을 지불하여 안정적인 블록체인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수집 기간 : 루니버스 출범 ~ 2021년 5 31월
[루니버스 생태계 지표]
– 기업 고객 수 : 2,558
– 사이드 체인 수 : 182
– 전체 디앱 수 : 1,184
– 전체 토큰 수 : 1,038 *메인 체인과 사이드 체인에서 발행된 토큰 합계
– 활성화된 토큰 수 : 107
[루니버스 기술 지표]
– 루니버스 전체 블록 수 : 61,745,312
– 전체 트랜잭션 : 19,793,422 *메인 체인과 사이드체인에서 발생한 트랜잭션 수 합계
– 전체 DEOA(Delegated EOA) : 2,116,584 *루니버스가 Private Key를 관리하는 EOA
– 평균 블록 타임 : 1.04
– 커스텀 컨트랙트 수 : 3,488
– 체인 사고 발생 건 수 : 0
루니버스의 생태계 지표는 작년에 이어 올해도 꾸준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기업 고객 수가 1년간 2배 이상 증가하여 생태계 및 기술 지표의 전반적인 상승을 이끌 수 있었습니다.
특히 이번 년도는 디지털 자산 시장이 큰 주목을 받으며 블록체인을 다양한 비즈니스에 적용하고자 하는 문의가 많아졌는데요. 루니버스는 작년부터 다양한 요구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블록체인 기반 응용서비스인 Trace, DID, Point, NFT 등을 신규 제품을 출시하고 있으니, 관심이 있으신 분은 언제든지 편하게 문의 주시기 바랍니다.
루니버스의 평균 블록 생성 시간은 1.04초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블록 생성 수는 6,100만개를 돌파하였습니다. 또한, 메인 체인과 사이드체인에서 발생한 트랜잭션을 모두 합한 수는 1,900만 건을 넘어섰습니다. 특히 DEOA(Delegated EOA)의 수치가 210만을 돌파한 것은 루니버스 생태계에 참여하는 일반 유저 수의 증가를 나타내는 지표이기에 큰 의미가 있습니다. 이러한 의미있는 성장은 루니버스 고객 수의 증가를 비롯하여 활성화된 디앱의 루니버스 생태계 참여가 가장 큰 이유입니다.
이러한 성장과 더불어, 서비스의 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2년 이상 체인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것을 가장 의미있는 성과로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전 세계 기업이 블록체인을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안전하고 쾌적한 서비스 환경을 제공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루니버스와 이더리움의 성장률 공개

전 세계 블록체인 퍼블릭 네트워크중에 가장 유명한 이더리움의 2020년 3분기 월 평균 트랜잭션은 3,400만 건이 발생하였으며, 2021년 3,4,5월 월 평균 TX는 작년 대비 20% 성장한 4,200만 건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비싼 트랜잭션 비용, 낮은 TPS 등의 확장성 문제가 있으나, DeFi, NFT 시장이 급격하게 성장하며 여전히 많은 트래픽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더리움은 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EIP-1559 등 신규 정책을 마련하여 천천히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루니버스의 2020년 3분기 월 평균 트랜잭션은 37만 건이 발생하였으며, 2021년 3,4,5월 월 평균 트랜잭션은 작년 대비 890% 성장한 335만 건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더리움과 대비하여 낮은 트래픽이지만, 루니버스의 다양한 디앱이 활성화 됨에 따라 메인넷 트래픽이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더리움의 디앱 수는 디앱 랭킹 플래폼 “State Of Dapps”에서 제공한 이더리움의 디앱 통계 자료를 기반으로 작성하였으며, 2021년 5월 기준 2,811개의 디앱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루니버스 디앱은 특정 앱(Web Application, Mobile Application, Desktop Application) 에서 블록체인상의 컨트랙이나 토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때 필요한 API와 리소스를 정의한 것을 말합니다. 루니버스의 디앱 수는 2021년 5월 기준 1,184개입니다.
가령, A라는 디앱에서 블록체인상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조회하는 기능이 필요한 경우, 이를 루니버스 상에서 “A 디앱”이라고 구현합니다. 그 이후, A 디앱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사용하여 손쉽게 기존 앱에 블록체인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루니버스의 TOP5 디앱은?
앞서 언급했듯이 트랜잭션 수는 체인 및 디앱의 활성화 정도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지표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루니버스 체인에서 가장 많은 트랜잭션을 기록한 프로젝트는 어떤 곳일까요?
“메인 체인”과 “메인 체인 + 사이드체인”의 트랜잭션 수를 기준으로 TOP5 디앱을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앞으로 루니버스는 공개된 온체인 정보를 가공하여 디앱의 트랜잭션 수를 순위별로 확인할 수 있는 정기 리포트를 공개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디앱의 활성화 정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하나의 평가 요소로서 활용될 것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TOP5 디앱 공개
- 기준 : 메인 체인 + 사이드체인 트랜잭션 수

- Ziktalk
- 직톡은 전세계 65만명이 사용하고 있는 외국어를 가르치고, 배우는 사람들 간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입니다. 모바일 기반 직톡 어플을 통해 영상통화, 채팅, 소셜 피드, 팔로우 등의 기능을 사용할 때 블록체인 기반 ZIK토큰이 사용됩니다.
- 디앱 확인하기
- Milk
- Milk는 포인트를 매개로 다양한 서비스를 연결하는 플랫폼 앱입니다. 야놀자, 신세계면세점, 메가박스, 진에어 등 섹터 별 대표 기업들과 파트너십을 구축했고 약 90만 명의 누적 사용자를 확보하여 IT서비스로서 빠르게 성장 중입니다. 국내외 다양한 서비스와의 제휴를 추가하고 앱의 기능을 고도화해 사용자 혜택을 꾸준히 높여 나갈 계획입니다.
- 디앱 확인하기
- Berry
- Berry Store에서 인플루언서들은 애장품/물품/재능을 일반 대중들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일반 대중들은 물품 및 재능을 거래하는 행위 이외에도 다양한 이벤트와 컨텐츠에 참여하거나, 커뮤니티 또는 SNS에 내용을 공유하는 것으로 경제적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디앱 확인하기
- Cherry
- ‘기부 좋은 날, 체리’는 과기부로부터 지원받은 국민 프로젝트로 출발해, 현재 200여 개 단체들과 함께 1만 7천여 명의 회원들을 대상으로 17억여 원의 후원금을 모금하며, 블록체인 기술을 통한 투명한 기부문화 정착에 새로운 바람을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 디앱 확인하기
- Aha
- 아하Q&A 프로젝트는 궁금한 점을 질문하면 검증된 전문가로 부터 답변을 받을 수 있는 전문지식 Q&A서비스 입니다. 아하Q&A의 전문 답변자 등은 서비스내 다양한 지식공유 활동을 통해 디지털자산 아하토큰으로 보상을 받으며, 나의 지식이 돈이 되는 세상을 만듭니다.
- 디앱 확인하기
TOP5 디앱 공개
- 기준 : 메인 체인 트랜잭션 수

Milk
- Milk는 포인트를 매개로 다양한 서비스를 연결하는 플랫폼 앱입니다. 야놀자, 신세계면세점, 메가박스, 진에어 등 섹터 별 대표 기업들과 파트너십을 구축했고 약 90만 명의 누적 사용자를 확보하여 IT서비스로서 빠르게 성장 중입니다. 국내외 다양한 서비스와의 제휴를 추가하고 앱의 기능을 고도화해 사용자 혜택을 꾸준히 높여 나갈 계획입니다.
- 디앱 확인하기
Aha
- 아하Q&A 프로젝트는 궁금한 점을 질문하면 검증된 전문가로 부터 답변을 받을 수 있는 전문지식 Q&A서비스 입니다. 아하Q&A의 전문 답변자 등은 서비스내 다양한 지식공유 활동을 통해 디지털자산 아하토큰으로 보상을 받으며, 나의 지식이 돈이 되는 세상을 만듭니다.
- 디앱 확인하기
Ziktalk
- 직톡은 전세계 65만명이 사용하고 있는 외국어를 가르치고, 배우는 사람들 간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입니다. 모바일기반 직톡 어플을 통해 영상통화, 채팅, 소셜 피드, 팔로우 등의 기능을 사용할 때 블록체인 기반 ZIK토큰이 사용됩니다.
- 디앱 확인하기
Berry
- Berry Store에서 인플루언서들은 애장품/물품/재능을 일반 대중들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일반 대중들은 물품 및 재능을 거래하는 행위 이외에도 다양한 이벤트와 컨텐츠에 참여하거나, 커뮤니티 또는 SNS에 내용을 공유하는 것으로 경제적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디앱 확인하기
Publish
- PUBLISH는 언론사를 위한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뉴스 및 디지털 콘텐츠의 생성, 배포, 전달 과정에 참여하는 언론사와 독자, 그리고 광고주를 연결하며 중소언론의 자생력 강화를 목표로 블록체인 기반 뉴스 생태계 솔루션을 제시합니다.
- 디앱 확인하기
루니버스의 발자국
18.05 : Lambda256 설립
18.09 : UDC2018에서 Luniverse 최초 공개
19.03 : Lambda256 분사, Luniverse Pre-open 서비스 진행
19.05 : Luniverse 블록체인 서비스 정식 오픈
19.07 : Luniverse Scan 오픈
19.12 : AWS Re:Invent 발표
20.02 : Luniverse DROPS 출시
20.03 : Luniverse Hyperledger Fabric 정식 출시
20.04 : Luniverse 서비스사이트 2.0 오픈
20.06 : 80억 규모 시리즈A 투자 유치
20.07 : 기업 고객 1,200명 돌파
20.10 : Luniverse Loyalty Point 출시
20.12 : Luniverse Trace 출시
21.02 : 기업 고객 2,000명 돌파
21.03 : Luniverse DID 출시
21.03 : 100억 규모 시리즈A 추가 투자 유치 (시리즈A 170억 마감)
21.03 : 기업 고객 2,500명 돌파
21.08 : Luniverse 2.0 출시(NFT, Hyperledger Besu)